세상 산책 중인 노마드

Art, Architecture, Travel & Life

미술 Art/작가 Artist

[Artist] 서용선 Suh Yongsun - 몸, 사물

Brett 2021. 3. 5. 11:50
728x90

서용선 작가의 [Artist] 서용선 Suh Yongsun - 자화상, 인간 연구의 기본 단위에서 연결된 포스팅입니다.

 

안녕하세요 구독자 여러분 (혹 곧 구독하실 분들)

3월 12일, 갤러리JJ에서 서용선 작가의 전시를 다시 한번 준비하여 오픈합니다. 그 전에 일단 갤러리JJ에서 열린 서용선 작가님의 지난 전시 2개를 먼저 소개하고 3번째 포스팅에서 현재 어떤 것을 진행하는지 VR과 함께 다시 소개할 예정입니다. 2018년 <서용선의 자화상>을 하였고 2019년에는 조각과 콜라주 등 다양한 매체가 있었던 <서용선의 머리_갈등> 전시가 있었습니다. 작가의 콜라쥬, 조각 등 더욱 입체적 작업을 통하여 일루전적 평면보다 사물 속으로 더 들어가서 질문을 하고 이는 결국 몸이라는 물질성을 가진 ‘사람’과 ‘사물’과의 경계를 보여드립니다.

 

갤러리JJ는 2018년 이후 일년 만에 다시 작가 서용선의 개인전을 마련하였다. 서용선 작업의 모든 시각적 형상은 기본적으로 사람에 대한 관심으로 함축될 수 있으며 이는 곧 현대인, 인간의 삶을 조건 짓는 ‘사회’와 관계 지으면서 지금까지 도시 인물과 역사화 그리고 신화, 자화상, 풍경 등으로 나타났다. 작년 <서용선의 자화상: Reflection> 전시에 이어 올해 <서용선의 머리_갈등> 전시는 이렇게 작업의 핵심에 놓여지는 ‘사람’, 그 실체에 좀더 직접적으로 들어가서 질문하고자 하며,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서용선의 전시가 주로 평면작품 중심이었던 것에 비하여 이번에는 거기서 조금 벗어나서 콜라주 작업 및 입체작품을 중심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그 의미를 더한다. 여기서 작가는 일루전적 평면보다 사물 속으로 더 들어가서 질문을 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몸이라는 물질성을 가진 ‘사람’과 ‘사물’과의 경계에 맞닥뜨린다. 전시는 우리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자 몸이 가지는 물질적 조건을 들여다보게 하는 한편, 형식과 매체의 경계를 확장함으로써 공간 속에서 다양한 재료의 물성과 감각을 느끼면서 서용선의 작품세계에 새로운 시각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회화와 더불어 이전에도 나무를 재료로 한 형상 조각과 발견된 사물(Found Object)을 이용한 조각 및 콜라주 작업은 꾸준히 서용선의 작업세계의 한 부분을 차지해 왔다. 현재 서용선의 야외 조각 작품들은 여러 건축물들에 설치되어있다. 신작을 중심으로 하는 이번 전시에서 새로운 청동조각 <머리 Head>는 이전의 목조각 머리를 청동으로 치환하였고 철 구조물인 추상조각 <갈등 Conflict>은 건축폐기물을 이용하였다. 그 외 다양한 일상 재료들을 사용하여 화면을 구성한 콜라주 형식의 회화작업 등 신작 15점을 포함하여 총 32점이 전시된다.

콜라주나 채색된 나무판넬 입체작업은 회화의 물질적 기반 자체를 보여준다. 발견된 재료를 사용하는 콜라주는 회화의 재료인 물감보다 더욱 직접적으로 현실에 관계하며, 3차원의 공간을 차지하는 조각은 물론 현대미술은 설치 형식으로 나아가며 현실 속에 실제로 참여한다. 창고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나온 철근 트러스트를 변형하여 만든 작품 <갈등>은 전쟁 혹은 사회적 사건들을 바라보며 느끼는 뒤엉킨 감정들의 표현이겠지만, 또한 공간을 팽팽히 가로지르며 보이지 않게 건물을 떠받치고 있던 트러스트 본연의 힘을 생각하면 왠지 하나의 역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얽히고 설킨 보이지 않는 힘의 구조로도 읽혀진다. 작품들의 재료로 쓰여진 포장재나 은박지, 녹슨 철 조각 등은 대부분 중고 혹은 버려질 산업폐기물, 일상의 흔한 재료들로써 그것의 물질성과 재료에 내재된 리얼리티로 인도한다.

/몸, 사물

<가족>, <남자> 그리고 <콜라주> 시리즈 등의 작품에는 우유와 빵, 견과류 등의 텍스트가 쓰여진 포장재 등 실제 현실의 사물들이 직접 화면 속으로 들어와 있다. 강렬한 색채, 표현적인 터치와 함께 압축적이고 간결한 구조와 질서로 이루어지는 화면이 특징적인 서용선의 회화에서 먹거리 기호가 몸의 자리를 채우고 있다. 자신이 속하고 경험하는 도시사회나 처해진 상황들을 늘 관찰하며, 부엌에서는 ‘먹는 존재로서의 인간’을 사유하기도 하는 작가가 지난 겨울, 뉴욕에 머무는 몇 개월의 기간 동안 자신이 섭취하였던 기호식품의 패키지들을 콜라주한 작품들이다. 이는 지금까지 서용선의 작품 속 ‘사람들’이 늘 어떠한 상황과 얽혀있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서, 다만 이번 전시에서 그의 사람에 대한 시선은 더욱 세계 속 사물과의 관계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콜라주는 대상 자체를 시각적인 요소보다는 리얼리티를 느끼게 하는 감각의 자극을 통해 파악함으로써 사물 그 자체의 사용에 관심을 갖게 한다. “나는 그 시점에 이런 것들을 먹어서 지금 이러한 내 형상을 유지하고 있구나.” 라고 작가는 의식한다. 그를 일정기간 생존하게 하였던 먹거리들은 이제 작가의 몸의 실체가 되었다. 작업에 있어서 매체로서의 물질에 작가의 감각(sensation)이 부여되면서 작품 속 표현의 대상은 동시에 행위 하는 주체를 언급(refer)하게 된다.

이같이 행동하는 주체로서의 몸, 몸의 현전이라는 문제를 새롭게 돌아보게 된 것은 서구미술에서는 1960년대에 실존적 사유나 현상학적 몸 철학과 함께 퍼져나갔다. 퍼포먼스나 이벤트, 개념미술, 신체미술 등으로 나아가며 줄곧 표현하는 주체와 대상이라는 객체의 구분과 경계를 허물어뜨렸다. 회화에서는 매체의 물질성과 순수한 물질로서의 몸을 향한 관심사가 앵포르멜이나 액션페인팅 경향으로 나타났다. 창조하는 예술가 신체의 ‘감각’이 재료라는 물질을 매개체로 자신이 대상과 하나가 되었다. 사상가 조르주 바타유는 물질 그 자체가 형태를 산출할 가능성을 내재한 적극적인 힘이라고 보았다. 서용선의 작업은 이처럼 극단적으로 주체의 행위에 주목하거나 물질적 성격을 강조하지는 않지만, 형상을 취하는 가운데 작품의 주제 표현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적 모색으로서 하나로 규정되지 않는 그만의 양식을 구사한다.

작품 재료에서 건강을 강조하는 요즘의 세태를 반영하듯 건강기호식품의 정보 및 ‘유기농’이라는 텍스트가 쉽게 발견된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소비재로써 흔한 상업용 포장재와 일상용품, 건축재료 등 동시대의 기호는 현대인의 삶을 대변한다. 우리는 매 순간 특정한 상황과 더불어 존재하고 그때마다 모습이 같을 수는 없다. “먹거리도 변하고 있고 그것을 먹는 내 신체도 변한다. 실제물로서 자연의 사물, 양식들이 공급되어 내 몸에 계속 영향을 끼치고 있다.”(서용선) 일상의 느낌은 어느새 육신과 정신의 일부로 배어들게 된다.

경험된 세계는 항상 몸과 함께 온다.(윌리엄 제임스) 우리의 몸은 항상 주어진 상황에 잘 적응하려 하며, 메를로 퐁티에 의하면 세계가 몸을 구조화한다. 계속 새롭게 변화하는 복합적인 이 세상에 맞춰 새롭게 적응하는 몸의 '가소성(plasticity)'은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 타임즈>에 극대화되어 나타남을 볼 수 있는데, 생산공정 부품으로 전락한 노동자의 체화된 기계적이고도 반복적 행위가 보이는 익살스러운 모습은 신랄하면서도 자조적이다. 이들은 전체를 통찰하고 짜맞출 수 있는 능력을 어느 새 잃어버린 산업사회의 희생자에 다름 아니다. 이렇게 구조화된 몸은 다시 세계를 재구성하게 된다. 한편 미셸 푸코는 몸 바깥의 권력 작용이 몸의 안과 밖을 특정하게 변화시킨다는 주장을 한다. 이렇듯 몸은 모든 사회적 관념을 내재하며 존재한다. 삶을 살아가는 우리의 몸은 하나의 집약된 사회이며, 세계와 분리할 수 없다. 먹고 마시는 것 같은 행위조차 단지 육체적인 것뿐 것 아니라 사회적이거나 인식적, 미적 목적들로 침투된다. 작가는 “사회 속의 인간은 늘 변화하기 때문에 한가지 모습으로 고정될 수 없다. 끊임없이 갈등하며 고민하는 인간을 진실하게 그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에 대한 미술평론가 치바 시게오의 견해로는, “‘사람’ 인체와 마음의 ‘내면’ 어딘가에 존재하고 있는 것, 그러나 그 어딘가를 결정할 수 없는 존재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사람이 사람으로 돌아갈 때-서용선의 시도」)

캔버스 평면이지만 <조각>이라는 제목이 붙은 작품은 그가 파리의 박물관과 피카소미술관에서 본 원시부족의 예술, 아프리카 나무조각의 원시적 형상에 영감을 받아 그렸다. 서용선 작품에서 보이는 얼굴 모습들은 마치 원시 부족의 마스크 같으며 형태 묘사는 대부분 이처럼 지극히 단순하고 투박하며 때로 천진난만해 보이기도 한다. “생명의 원동력을 생생히 느끼는 것, 거기에 생명의 아름다움도 있는 것”이 작가의 생각이다. 단순해 보이는 형태 속에서 많은 이야기의 가능성이 있으며 선과 색, 그리고 실제 물질이 보여주는 표현의 가능성이 강조된다.

대도시에서의 현재 삶을 중심으로 작업하면서, 때로는 역사가 된 전쟁의 상황과 기억의 작품 <콜라주12>와 <콜라주14> 그리고 <갈등>, 고구려벽화에서 본 별의 기호 <북두칠성>, 세월호 사건의 <아이들>까지 여전히 그는 낭만적 이상과 향수가 아닌 철저한 역사의식과 비판의식을 갖고 작품을 통해 조금이라도 더 사람, 삶이라는 것의 본질과 가까워지려 한다. 공간에 줄지어 선 익명의 초상조각 <머리>들을 생각해보면, 작가가 늘 이벤트로 해오던 군상 사진 <직립 연출사진> 시리즈가 연상된다. 모두가 일정하게 그리드를 형성한 채 말없이 어딘가 한 지점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에서 말이다. 이 <머리>들은 타인들과 늘 조우하지만 낯선 어색함과 소통부재의 삶을 살아내야 하는 대도시의 고립된 모나드(Monad)로서의 개개인, 낯선 익명의 현대인의 초상에 다름 아니다.

- 갤러리JJ 대표 강주연

 

****************************

 

Gallery JJ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Suh Yong-sun once again since 2018. Following last year's Self-portraits by Suh Yongsun: Reflection, this exhibition queries more directly the gist of his work; human. All visual forms in his work imply a genuine interest in people that relate to the society governing modern life and they have been expressed as portrait, self-portrait, historical painting, myth, and landscape. On view will focus more on collage and three-dimensional work unlike the previous exhibition centered on painting and planar work. He rather delves more into real objects than illusive planes to eventually encounter the boundary between a person and a thing inhabiting corporeal materiality. This exhibition guides us to look into our physical conditions of the body and ourselves as collective beings while it expands the perimeters of form and media, giving a new perspective to his work by feel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es of various materials in space.

Figurative sculptures and collages using wood have deliberately been a part of his oeuvre along with his painting. He uses conventional materials like bronze and wood but also found objects to construct his work. This exhibition showcases thirty-two works including his fifteen recent works; Head series replaces wood, previously often used materials, with bronze, and an abstract steel structure Conflict is composed of reclaimed architectural debris. All works presented - collages, paintings, and installations - utilize everyday objects to construct his image.

 

Collages or reliefs on a colored wood panel demonstrate the material basis of painting. Found objects used in collage relate more directly to reality than dyes used in painting. Likewise, a lot of contemporary artworks interact with us in real space via sculptural constructs and spatial installations. Conflict is made of reconstructed steel truss parts from a warehouse demolition that may be an expression of a mixed sentiment from social turmoil, or an invisible force surrounding historic incidents akin to a structural force tensely crossing the roof that bears the weight of an edifice. Daily products and debris such as packaging, tin foil, and rusty steel used in his work guide us to the reality inferred by materiality.

 

/Body, Things

Daily things such as bread, milk, and nut packaging materials with text written on them are drawn directly into Family, Man, and Collage series. The symbols of nourishment fill the bodies portrayed with Suh’s trademarks: intense colors, expressive dashes, and concise structure and order. They are collages with the packaging of the food he consumed during his sojourn in New York last winter. He always speculates urban society and the situations he experiences. In the kitchen, he thinks of humans as devouring existence.

 

The people in his work are always intertwined with a situation. In this exhibition, we look at how his view on people is further embodied with the objects in the world. Collage draws attention to the use of the object itself by grasping it through the stimulation of the senses in real space rather than a visual element. The artist utters, “I maintain my shape a certain way because I eat certain things at a certain time.” The food keeping him alive for some time is now a part of his bodily reality. He grants his sensation to the things as a medium in his process in which the object of expression simultaneously refers to the subject in action.

 

In the 1960s, revaluation on the topic of the body as a subject in action and its presence had propagated in Western art with existentialism and phenomenology of it. The borderline between active subject and passive object collapsed as performance, happening, conceptual art, and body art progressed. In painting, rising interest in medium’s materiality and the body as a pure substance appeared as Informel and action painting. Here, the senses of an artist's body turn into the material for art in which he merges with the object as a medium himself. Georges Bataille had indicated that a substance itself is an active force inherent in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form. Suh’s work does not emphasize the subject's action or material character. However, while taking the form, he uses a methodological search for expressing his subject matter which has developed his unique style.

 

Nutrition fact sheets and ‘organic’ signs are easily found in his working material as if they reflect the recent well-being trend. These modern consumer goods such as commercial packaging, articles for daily use, and building materials represent modern life. Consumption is not only in the physical domain but also in social, cognitive, and aesthetic ones. We exist in a particular situation at every moment and cannot be the same every time. “Food changes constantly and so as my body consuming it. As a real entity, the food from various sources continues to influence my body,” said Suh. Everyday feelings soon become a part of the body and mind.

 

“The experienced world always comes with the body.” (William James) Our bodies always attempt to adapt to any given situation and thus the world structures the body, according to Merlot Ponty. This plasticity of the body in an ever-changing and complex world is well portrayed in Charlie Chaplin's Modern Times. The humorous appearance of mechanical and repetitive embodied behavior of the workers fallen into a production line is scathing and self-mocking. They are the victims of industrial society who have lost the innate ability to see and control the whole. Michelle Foucault argues that the authoritative influence on the body predominantly alter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It is inherent in all social ideas. It is an integrated society, inseparable from the world. It is too complex and cannot be overlooked as it leads to fundamentally opaque and unexplained perceptions. Suh notes, “Because humans in society always change, we cannot be fixed in one form. It is a true depiction of us persistently conflicted and troubled.” A Japanese critic, Shigeo Chiba replies, “it is a way of expressing what exists somewhere between the human body and inner mind, but cannot determine that somewhere."

 

Sculpture, a painting titled as sculpture, is inspired by tribal art and the primitive figures of African wood carving he saw in the Picasso Museum and other museums in Paris. The faces in his work are similar to the primitive tribal masks and are mostly very simple, clunky, and sometimes naive. Suh states, "To feel the power of life vividly. The beauty of life lies there.” Many stories indwell in a seemingly simple form in which the potential of lines, colors, and real materials’ expression is emphasized.

With a thorough historical and critical consciousness, not romantic ideals and nostalgia, he attempts to get closer to the essence of life through his work in this exhibition: history and memory of war - Collage 12, Collage 14 and Conflict; the constellation in Goguryeo murals, Big Dipper; and the victims of Sewolho, Children; and the bare essence of urban living. The anonymous sculptures Heads lined up in space remind us of Directional Photographs series that he has been producing as an event where everyone stands in a grid staring at a spot without a word. These heads are portraits of each of us, the strange anonymous modern man as an isolated monad of metropolises always meeting others but living in an odd awkwardness and lack of communication.

 

Ju Yeon Kang

Director Gallery JJ

Translated by Brett D.H.Lee

Instagram: @brettdhlee

@galleryjjseoul

 

 

****************************

 

** 방문하신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이 시리즈의 내용은 작가와 갤러리JJ의 지적재산임을 알려드립니다. 공감과 댓글은 힘이 되요. **

www.galleryjj.org

 

Gallery JJ | 갤러리 JJ - Current Exhibitions | 현재전시

Gallery JJ | 갤러리 JJ Current Exhibitions | 현재전시

www.galleryjj.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