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산책 중인 노마드

Art, Architecture, Travel & Life

미술 Art/작가 Artist

[Artist] 이윤성 Yunsung Lee - Nu Type 문화혼종성

Brett 2021. 6. 16. 12:42
728x90

** 아직도 LA 정착중이라 정신이 없어서 블로그 글을 못올리는데 일단 오늘은 구독자 분들 블로그 방문드리고 꼭 작가소개를 한 분 해야할 것 같아서 이윤성 작가님을 선정하였습니다.^^ 내일 부터는 남미여행기를 올립니다. (실은 지금도 남미에 있어야하는게 계획인데 아쉽지만 LA에 멈춰있네요ㅠ .**

 

** 방문하신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이 시리즈의 내용은 작가와 갤러리JJ의 지적재산임을 알려드립니다. 공감과 댓글은 힘이 되요. **

 

 

--------------------------------------------

“이미지는 상호관계의 바다에 휩싸여 놀라울 정도로 적절하게 새로운 틈새의 장으로 빨려 들어간다.”

 – 진 시겔, 『현대미술의 변명』

오늘날은 수많은 원천으로부터 급속도로 유입되는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서 이분법적 경계가 모호해지고 문화적 혼종화가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롤랑 바르트에 의하면 ‘텍스트는 출처가 불투명한 글들이 뒤섞이고 충돌하는 다원적인 공간으로서 문화의 수많은 핵심들을 차용하여 만들어진다.’ 신화와 역사 등으로부터 불러낸 재현적 요소를 작품에 끌어들이는 신건우와 이윤성의 작업은 기존의 텍스트를 새로운 맥락에서 재사용하면서 차용과 몽타주, 병치와 전위의 전략이 두드러진다. 서로 다른 맥락의 이미지나 사물, 양식을 병치 혹은 중첩시키는데, 이렇게 시공을 넘나드는 이질적인 요소들의 겹침은 서로 간의 개입으로 인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고 독해된다.

 

돌이켜보면, 1980년대를 전후하여 추상미술에 의해 폐기되었던 형상성의 부활과 함께 과거의 미술과 대중매체로부터 이미지를 끌어다 쓰는 ‘차용’ 전략이 빈번해졌다. 당시의 정치,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만연했던 노스탤지어는 미술에서 내용이든 양식이든 모든 역사적 유산을 차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종 과거의 이야기를 취하여 서사로서 불연속적인 동시에 현재와 관련 있게 다루어졌다. 작가 엔조 쿠치의 경우 이러한 이미지들이 등장하는 이유가 위기로 가득 찬 세계에서 “매달려있을 만한” 견고한 어떤 것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새로운 질서의 탄생, 새로운 지역유형의 형성, 새로운 형태의 결정화, 문화의 재배치…”

– 피터 버크, 『문화 혼종성』

 

/Nu

“토르소, 그냥 조각난 무엇을 보는 것만으로도 모든 게 상상이 되고 설명이 된다.  파괴되고 훼손된 것 그 자체로 많은 것을 이야기한다.” 

–이윤성과의 인터뷰

작품 <토르소>의 비너스를 비롯하여 다나에, 헬리오스, 프시케 등의 작품 명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윤성의 작품에서 베이스를 이루는 것은 그리스 신화 속 인물이자 서양미술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도상들이다. 이윤성은 대상이 되는 이미지 자체가 가진 힘과 역사에 주목한다. 그의 작품 역시 많은 내러티브가 들어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작가는 자신이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왜냐하면 신화나 고전 그 자체에는 이미 이야기가 충분히 내포되어 있으며, 현대의 이야기는 과거의 무한반복일 뿐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정작 관객은 고전적 이미지가 아닌, 휘몰아치는 분위기와 달콤한 색상 속에 과장되게 귀엽고 환희에 찬 표정의 미소녀와 마주한다. 이윤성의 회화 작업은 한눈에 대중 만화를 연상시키고 또한 그 임팩트가 강하다. 그의 작업은 고전을 소재로 이러한 미소녀 캐릭터 및 면 분할, 검은 윤곽선, 평면성이 두드러지는 납작한 만화책의 전형적 형식을 적용하지만 가까이 보면 붓 자국이 살아있는 유화이다. 프레임 또한 만화 컷 형식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전체 이미지와 각각 독립적인 개별 작품들로 이루어진다. <Danae Cut-in>은 다나에 시리즈 중 독립적인 부분작품이며, <Helios>는 태양신 헬리오스를 중심으로 각각 미소녀로 치환된 12 별자리의 개별 캔버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조디악> 시리즈에 속한다. 그의 작업 특성은 남자를 포함한 고전 속의 모든 대상이 만화적 캐릭터의 미소녀로 치환된 새로운 스타일의 도상, 그리고 이미지가 제시되는 새로운 형식으로서 만화 컷 분할로 변형된 캔버스로 각각 ‘Nu-Type’과 ‘Nu-Frame’이라는 개념으로 고찰된 바 있다. ‘새로움’을 뜻하는 ‘Nu’는 다중적 의미로 쓰였으며, 그 중 불어의 뜻이 ‘누드’임은 이윤성의 작품이 일정부분 여성 누드화의 맥락임을 상기시키기도 한다.

현대라는 시기를 거치면서 미술과 일상 간의 경계는 무너지고 고급미술과 대중미술 간의 교류는 빈번해졌다. 이러한 만화적 표현방식으로 과감하게 재해석하는 감각은 작가의 성장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만화를 친숙한 이미지로 유희할 수 있는 문화적 감수성이 작용함을 작가와의 인터뷰에서 알 수 있었다. 이윤성 작업의 혼성적 성격은 역설적으로 기존의 전형성 및 상용화된 표현들을 극대화시키고 적극적으로 차용함으로써 온다. 회화의 아날로그적 방식을 고수하고 만화 미소녀의 전형적 특징과 작법을 빌려오고, 신과 인간의 근원적 이야기, 헬리오스는 태양신의 상징인 빛나는 가시관을 쓰고 있어야 하고 빛을 상징하는 황금색, 사랑을 테마로 하는 프시케는 분홍색이라는 상용적 표현을 적극 참조한다.

그가 다루는 신화들은 미술사 속 화가들이 즐겨 다루었다. 다나에는 티치아노를 비롯하여 렘브란트, 클림트 등 르네상스부터 근대미술에 이르기까지 비스듬하게 기대 누운 자세의 관능적인 여성누드라는 전형적인 모습을 중심으로 같은 주제지만 시대의 분위기에 따라 다르게 묘사되어 왔다. 역사 속 다나에는 이제 이윤성의 다나에까지 이르렀고, 만화 스타일의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미소녀로 재해석되었다. 그의 작품에는 서양과 동양의 문화, 순수회화와 대중문화, 대상화되는 여성 신체에 관한 담론 등에서 오늘날의 문화 혼종성 Hybridity의 시대 코드가 자연스럽게 반영된다. 이제 시간은 서양의 전통적 누드화와 만화 속 미소녀의 간격만큼이나 지나왔다. 작품은 신디 셔먼의 분장처럼 한편으로 만화 속에서 오늘날 대상화되고 소비되는 미소녀들의 이미지가 갖는 귀여움과 사랑스러움을 재구성하여 보여줌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것의 해체를 성취하고 있다.

생각보다 고전은 우리 가까이 산재해 있고 현재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는 오늘날 도처에서 쓰이고 있는 상징과 이미지들의 근원과 변화를 탐구하고 싶어한다. 바쁜 현대생활에서 새로움에 집착하는 동안 우리가 잊어버리고 잃어버린 것들. 작가는 우리에게 그 잃어버린 이야기의 한 조각을 찾아준다.

 

"Images are swallowed up by a sea of ​​interconnectedness into a new field of interstices frightening in its appropriateness."

Art Talk: The Early 80s, Jeanne Siegel

GalleryJJ has prepared an exhibition of Kunwoo Shin and Yunsung Lee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the appropriation and deconstruction of images from the past with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This exhibition draws attention to how they craft a network of multifaceted meanings by linking and dismantling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elements through narratives.

A constant influx of information from multiple sources today accelerates cultural hybridization and languishes dichotomies. According to Roland Barthes, text is created in multiple dimensions, drawn from many cultural values, in which the words of unclear sources jumble and collide. Incorporating reproducible elements from the ancient myths and history in their work positions the existing texts in a new context via appropriation and juxtaposition. This overlap of disparate texts transcending space and time is thus interpreted in many ways due to the mutual intervention among themselves.

 

Since the 1980s, along with the revival of the figurative discarded by abstract art, we have seen a more frequent appropriation of images from the past and the media. Nostalgia, which then prevailed in all realms of politics and culture, seemed to borrow much content and many styles from historical heritage. It was often regarded as discontinuous narratives yet related to the contemporaries. Enzo Cucchi (b.1949), an Italian painter, utters that the stories quoting the past prevail because they provide something solid we can cling to in a world full of crises.

 

Shin blends discrete images that do not conform to the conventional means of storytelling and drives them in an interesting way where paintings and sculptures overlap. Through the images from his experiences and memories, he strolls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or reality and ideals to solidify them in his multi-dimensional work. The strange scene he crafts without any apparent unity is a testimony to the chaotic modern life and a metaphor for the contradictions in our mundane routines. Lee also refers to utterly different contexts in the Western classics and the contemporary manga on a single canvas where a complex relationship amidst pop culture sentiment and fine art form emerges. He delves into the power and history of the icon itself and depicts it with his unique expression.

 

This exhibition consists of various media such as painting, relief, and sculpture, and introduces the recent work by Shin and a new Psyche series by Lee. Original and special things can be found by observing the acquainted differently rather than pursuing things entirely distant from the existing. We look forward to awakening our unfamiliar senses and rediscover the overlooked world with the joy of mythical imagination.

“a new order coming into being, the formation of new oicotypes, the crystallization of new forms, the reconfiguration of cultures...”

Cultural Hybridity, Peter Burke

/Nu

“Torso; merely seeing a fragmented makes everything be imagined and described. The destroyed and the damaged;

they utter themselves amply.”  - Interview with Yunsung Lee

Yunsung Lee’s work revolves around the iconic figures that appear repeatedly in Greek mythology and Western art as the titles suggest; Torso (Venus), Danae, Helios, and Psyche. He pays attention to the power and history of the image itself. His work also contains many narratives but he states that new storytelling is not needed. It is because old myths and classics already have enough stories and for this reason, to him, all storytelling today becomes merely an infinite repetition of the past.

 

What you see in this exhibition is not a classical Venus or Psyche, but a girl with exaggerated cute and joyful expressions in a whimsical environment with vivid colors. His painting style reminds us of popular manga at a glance, and its indication is strong. He recalls the characters in the classics to depict them as pretty young girls and apply the typical manga format such as frame splits, black outlines, and flatness. But when observed closely, each painting has lively brushstrokes. His canvas is in the form of cartoon frames that consist of each independent piece of work, and a whole image that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Danae Cut-in is an independent part of the Danae series and Helios is part of the Zodiac series, which is a combination of twelve canvases of twelve constellations each replaced by a beautiful girl, centered on Helios. His work is differentiated by a new type of icons in which all subjects in classics, including men, are replaced by beautiful girls in the manga, and a new form of canvas transforming into cartoon frame cuts in which the images are presented. These concepts have been explored previously as Nu-Type and Nu-Frame, respectively. Nu means ‘new’ and is used as a polysemous term. For instance, it also means nude in French that explains his work is partly in line with the female nude in fine arts.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everyday life has vanished, and the overlap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art happens more often than ever. The cultural sensibility to appreciate cartoons as acquainted and accessible images during his early life has naturally yielded him the ability to boldly reinterpret its expression, he says during his interview. He adheres to the conventional painting methods while appropriating the typical renders of girls in the manga. The hybridity in his work derives from exaggerating and actively borrowing those archetypal and commercial expressions. For instance, Helios wears a shining gold crown of thorns, the symbol of the solar deity, whereas Psyche in a story of Eros wears pink. 

 

The myths he engages with have been also dealt with by many artists throughout history. Danaë, a sensual female nude in an obliquely lying position, has been portrayed by Titian, Rembrandt, Klimt, and many others from the ancient to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She has been depicted differently depends on the nuance of each period. Danaë has now reached the canvas of Lee and has been reinterpreted as an active and attractive girl in cartoon style. His work indeed reflects the zeitgeist of today's cultural hybridity of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fine art and popular culture, and the discourse on the female body. By reconstructing the cuteness and loveliness of the image of young girls objectified and consumed in mass media today, similar to Cindy Sherman’s work, his work paradoxically accomplishes its disintegration.

 

Classic elements are scattered around us more than what is conceived, and they still influence us considerably. He wants to explore the origins and alterations of symbols and images used ubiquitously today. Lee finds a piece of the lost story we have forgotten whilst clinging to something offbeat in hectic life now.

Ju Yeon Kang

Director Gallery JJ

Translated by Brett D.H.Lee

Instagram: @brettdhlee

@galleryjjseoul

 

 

 

** 방문하신 분들 모두 감사드리며, 이 시리즈의 내용은 작가와 갤러리JJ의 지적재산임을 알려드립니다. 공감과 댓글은 힘이 되요. **

www.galleryjj.org

@galleryjjseoul

@brettdhlee

 

 

** 구독자분들 중에서 혹시 문화생활은 하고는 싶은데 코로나가 걱정이고, 큰 미술관은 사람이 많아서 못 가겠고... 그러시다면 매주 토요일 서울 압구정과 논현동 사이에 소재한 갤러리JJ에 오시면 고요한 전시 공간에서 커피와 다과를 먹으며 미술, 건축, 여행이야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갤러리는 항상 1~3명의 손님만 들락대는 중이라 고요한 편이에요. ^^ 연락주시면 제가 준비해놓고 있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