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작가의 작품은 보통 미술관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갤러리JJ에서 처음으로 '상업공간'으로만 인식되어 왔던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어 누구에게나 부담없이 들러서 볼 수 있다. 갤러리는 작가의 홍보, 마케팅, 판매, 평론, 글 작성, 아티스트토크 및 이벤트들, 다방면에서 미술문화의 저변을 넓히는 곳이다. 너무나 많은 곳이 상업적으로만 접근을 하였기에 대중에게 다소 인식이 안 좋았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들지만 좋은 글을 끊임없이 내놓는 강주연 대표님이 이끄는 갤러리JJ는 평가들, 평론가들 사이에서도 인정을 받고 있다. 오프닝 날의 뒷풀이에서 김영섭 작가의 지인들, 평론가들, 작가들의 대화에서도 그것을 느낄 수 있었다. (갤러리 오프닝 사진은 필자의 블로그 '갤러리'섹션에서 볼 수 있다.)
“그것이 ‘소리 내는 방식’으로 보이는 것은 없다…
그리고 그것이 ‘보이는 방식’으로 소리 내는 것도 없다.”
크리스티나 쿠비쉬
빗소리, 바람소리, 모닥불 소리, 속삭이는 소리, 쓰다듬는 소리… 청각을 중심으로 공감각과 유사한 반응을 보이며 ‘ASMR(자율감각쾌락반응)’이 최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일상의 환경소음을 트리거로 하는 감각적 경험이다. 형체도 없이 주위에 존재하는 수많은 노이즈는 우리를 문득 낯선 경험으로 데려갈 수 있다.
갤러리JJ는 소리를 시각화하는 사운드설치(Sound Installation) 작업으로 잘 알려진 김영섭의 개인전을 마련하였다. 지금껏 김영섭 작가가 갤러리가 아닌 미술관에서 수많은 전시를 해온 소위 미술관급 작가인 점을 감안하거나, 갤러리JJ 공간에서의 첫 사운드 관련 전시라는 면에서도 이번 <케이블도자기 그리고 소리 Ⅱ> 전시는 새롭다. ‘케이블도자기 그리고 소리’ 작업은 과거 2006년 독일을 시작으로 파리와 빈, 룩셈부르크, 토론토 그리고 2007년 서울에서 한차례씩 소개된 바 있다. 이번 전시는 기존 작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최신 전자 장비로 녹음된 사운드가 더 첨가되었고, 시각적으로도 특히 다양하고 풍부해진 색감과 형태들이 불러일으키는 인공적 매끄러움이 눈길을 끈다.
김영섭은 보이지도 잘 들리지도 않는 우리 주변의 소리환경에 주목한다. 독일에서 ‘소리-시각예술(Audiovisuelle Kunst)’을 전공한 그는 1세대 사운드아티스트인 크리스티나 쿠비쉬의 지도 하에 이미지와 음악, 소음을 통해 시간과 공간, 재료들의 종합적 상호관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왔다. 주로 일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리를 채집하여 편곡한 후 이를 시각화하는 작업으로, 그의 예술세계는 이미지와 사운드, 재료들 간의 충돌하는 상호관계 속에서 다분히 사회문화적인 맥락을 가지고 개념적으로 다양하게 읽힌다.
지난 작업들을 돌아보면, 무의미하게 도시를 지배하는 노이즈는 <re-play>에서 하나의 권력적 내러티브를 형성하고, 꿈에 대한 인터뷰 음성인 <Inter-view 꿈을 묶다>는 사회제도와 관습이 만든 획일성을 드러낸다. 일상을 지배하지만 형체 없이 존재하는 일상의 소리들을 시각화시킨 <정원에 대한 새로운 기억>, 현대인의 욕망을 마우스의 클릭소리와 결합시킨 <gulp! gulp! gulp!>, 도시의 삶을 사로잡는 수많은 정보와 광고들의 거대한 웅얼거림 <숲2007>. 이쯤 되면 김영섭 예술세계의 큰 그림이 그려진다. 그것은 현대 도시사회와 문화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잠재된 잉여적 소리와 소음들을 공간을 지배하는 방식이나 사회문화적 프레임 안에서 하나의 메타포로 차용하여 타성에 젖은 우리 삶의 현재 생태를 말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김영섭의 작업은 시각과 청각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하는 확장된 감각 작용과 함께 이렇게 우리의 인식체계에 깊이 관여하여 개념적 의식의 장이 열리는 지점으로 나아간다.
“나의 작업은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관습이나 제도, 정보가 우리의 인식이나 정서에 어떠한 형태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질문한다. 현대사회 속에서 제공되는 그것들은 우리에게 편안함이나 익숙함을 제공하지만 그 이면에는 자의적 혹은 타의적인 어떤 강요가 스며있다. … 특히 스쳐가거나 정체를 알 수 없는 다양한 현대사회의 소리들조차도 관습 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김영섭 작가노트
그는 소리와 설치를 병행하는 사운드인스톨레이션 형식을 구현하면서, 사운드아트와 시각예술 사이의 균형을 잡고 있다. 돌이켜보면, 소리(음악)가 예술의 매개체가 된 것이 미래주의 선언문이나 뒤샹의 개념적인 사운드작업을 선두로 이미 지난 세기 초에 일어난 일이다. 이후 개념주의의 성행과 함께 도약했으며 특히 청각을 시각으로 나타내는 Sound Visualization의 다양한 시도는 미디어아트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발전되어 온 분야이다. 예술에서의 감각성은 ‘이론적 감각들인 시각과 청각’(헤겔)이며 이 두 감각만이 의미에 접근할 수 있다는 관념론적 사고 하에서 이들의 결합은 기대되는 것이었다. 예술과 기술의 만남은 미디어아트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김영섭의 시청각 작업은 기술적인 현란함보다 사운드와 시각 이미지와의 일치와 불일치를 통한 새로운 해석과 의미 산출에 좀더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미지 소리 오브제_ 일상과 예술의 접점에서
이번 전시 역시 주변에서 끊임없이 흘러 나오지만 우리가 거의 의식하지 않는 노이즈들을 선택 채집하여 이를 문맥에 맞게 가공한 후 재생하여 구체적인 시각 오브제로 보여준다. 전시장을 들어서면 다수의 도자기 형태의 오브제들이 보이고, 이들 오브제를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반복’과 ‘재생’에 의거한 미니멀적인 풍경이 아닐 수 없다.
이 시청각 환경에서 일종의 소리 오브제로 여겨지는, 케이블을 돌돌 말아 올려 만든 케이블도자기에서 들리는 사운드는 냉장고 등의 생활용품에서 흘러나오는 미세한 소음들을 녹음하여 오채질굿(농악 가락의 한 종류이자 사물놀이 가락)의 길게 늘인 박자로 재구성한 소리이다. 이 음향은 이번 전시장의 공간에 맞게 2채널 서라운드로 제공되며 동시에 중첩되어 울린다. 전시에는 작가가 소리를 이미지로 표현하여 만든 드로잉과 악보도 포함된다.
지속적으로 느린 템포의 알 수 없는 아날로그적 사운드, 이와 맞지 않게 매끈거리며 시선을 유혹하는 오브제들, 말끔한 디지털에 최적화된 우리 감성은 그 사이에서 길을 잃는다. 계속되는 보기와 듣기가 교차하며 이끌어내는 우리의 인식, 기억, 시간과 공간은 어디를 향하는가? 이 환경에서 벌어지는 일들, 그가 선택한 도자기 이미지와 소리 그리고 오브제의 질료인 케이블과의 묘한 관계에 대해 묻지 않을 수 없다. 우선 케이블은 소리를 전달하고 충전할 때 사용하는 등 평범한 일상용품이지만 여기서 도자기의 형태를 부여 받는 순간 작품으로 기능하게 된다. 재현 이미지로 제시된 도자기 형상 또한 마찬가지로, 도자기는 예전에 쓰임새 있는 일상 생활용품이었다. 저장용품, 운반용품, 난방용품 등 12가지 용도가 도자기 혹은 소위 항아리라는 물품에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러한 기능은 오늘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른 손쉬운 제품들로 대체되고 대신 도자기는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 놓이는 예술품, 관조의 대상이 되었다.
사운드의 음원을 제공한 PC나 냉장고, 전기밥솥, 커피포트 등이 바로 도자기의 옛 기능을 대신하는 사물들이며, 이 사운드의 기본 박자로 쓰인 농악 가락은 예전에는 길거리 등 일상에서 행해지는 서민 음악이었지만 현대에 와서 무대 음악이 되었다. 많은 것들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그 의미가 변화되고 우리는 다른 관점을 가지게 된다. 주류와 비주류, 잉여 같은 문제들… 작업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이처럼 일상과 예술,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나들고 이러한 뜻밖의 어우러짐은 새로운 가치로의 전이와 의미를 형성한다.
질료, 징후
주로 스피커와 스피커케이블, 그리고 직접 채집한 소리를 재료로 하는 그의 작업에서 스피커 설치 작업을 제외하고는 케이블은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작가는 선을 감추지 않고 아예 드러내어 개념적으로 활용한다. 이번 전시에서 케이블은 소리를 전달하는 실질적 기능의 매체일 뿐만 아니라 형상을 구성하는 재료이기도 하다. 그의 작업에서 종종 스피커 선은 사운드를 담는 그릇이나 화분, 도자기 등 재현적 성격의 오브제로 변신한다. 우리가 전시장에서 도자기로 보고 있는 오브제는 실제 도자기가 아니라 우리 관념 속에서 도자기라고 알고 있는 이미지일 뿐이다.
이러한 이미지의 배반은 우리의 관심을 어쩔 수 없이 눈 앞에 놓인 색색의 케이블로 향하게 한다. 케이블이란 사물은 산업과 통신 발달이 가속화되는 오늘날 더욱 필수품이 되었다. 소리 오브제로서의 새로운 도자기의 질료는 흙이 아닌 이러한 케이블이다. 오브제의 색감 또한 화려하고 매끄럽게 키치(Kitsch)적 느낌을 주면서 재료 자체의 물성이 도드라져 그 실체가 합성수지, 인공 플라스틱임을 더욱 드러낸다.
이렇게 도자기에 대한 흙과 케이블의 전치는 자연의 요소보다 도처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사물들로 일상 공간이 점령당한 현실의 징후일 수 있다. 케이블오브제의 소리 역시 자연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고 키워지는 인공의 소리이다. 컴퓨터와 인터넷, 대량 소비 후 쉽게 버려지는 소모품들이 얼마나 어마어마한 인공사운드를 생산하고 있는가. 음원이 되는 현대 일상용품을 추적해가면 역시 플라스틱과 알루미늄 등 ‘인류세 Anthropocene’ 가 남기는 물질들, 초과사물인 ‘하이퍼오브젝트 Hyperobjects’에 이른다. 이는 인류가 자신 있게 발전시켜온 기술문명의 이면에 대한 동시대의 질문, 우리 감각으로 틈입한 인공의 잔해에 대한 비판적 사유에 관해 시사하는 바 있다.
조작된 사운드 환경
사운드 작업에서 소리는 오브제처럼 선택되고 채집된 일상의 질료들로서, 그는 이러한 채집된 날것의 소리를 양과 흐름, 고저를 조절하는 등 약간의 조작을 거쳐 작곡하여 새로운 상황으로 바꾼다. 사물놀이 박자를 이용한 소리의 작곡 및 편곡, 악보 제작에 대한 감각은 과거 작가의 10여년간의 풍물놀이 경험에서 우러나온다. 자신이 고안한 표기법에 따라 소리를 이미지로 표현한 ‘악보’는 청각 차원의 구조적 스케치이다. 마치 작곡처럼 정확한 사운드를 만들어서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렇듯 악보를 만든다는 것은 그가 정확히 소리에 관한 계획을 세우고 작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사물놀이 박자는 일상용품 소리와의 조합으로 새로운 노이즈로 전환된다. 채집된 소리는 발생된 당시 상황을 담고 있는 동시에, 도자기의 형상이 개입된 현재의 문맥이 서로 작용하면서 묘한 불일치가 발생한다. 작가는 이러한 낯선 조합으로 이들이 서로 간섭하도록 모든 장치와 상황을 연출하면서 관람자를 일종의 부조리한 연극적 상황 속에 놓이게 한다. 우리의 익숙했던 감각들은 엇갈리는 시간과 공간, 보기와 듣기 사이에서 낯설게 경험되고, 일상적 공간을 부유하는 무수한 소음들, 의미로 발화되지 못하고 잠재된 틈새의 것들이 인식과 기억 사이를 오간다.
전시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노출되는 사운드 환경을 일깨우며, 우리에게 사회적으로 이미 주어진 어떠한 삶의 조건을 돌아보게 한다. 획일적이며 끝없는 자기 복제에 빠진 사물들과 소리들의 난해한 결합은 곧 현대사회의 일련의 증상에 다름 아니다.
- 갤러리JJ 대표 강주연
“Nothing looks the way it sounds. And nothing sounds the way it looks.”
Christina Kubisch
Auditory sources such as the sounds of rain, wind, bonfire, whisper, or caress can cause a response similar to synesthesia. Those everyday environmental sounds trigger our sensory experiences. Countless aural stimuli around us have no shapes but suddenly take us to an estranged domain as in ASMR that has gained much interest and popularity recently.
GalleryJJ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of Youngsup Kim, well-known for his installation that visualizes sound. This exhibition, Cable Ceramics and Sounds II, is a new venture for us in terms of it being the first sound installation at GalleryJJ, and considering Kim is a so-called museum-level artist who has only exhibited in museums thus far. Cable Ceramics and Sound series were introduced in 2006 in Germany, Paris, Vienna, Luxembourg, and Toronto, and in 2007 in Seoul. Compared to his previous work, this exhibition has more layers of sounds recorded by the latest equipment, and visually, the artificial smoothness evoked by objets’ rich colors and various shapes attracts our attention.
Kim pays attention to our aural surroundings we can barely notice. He studied audiovisual art in Germany under the supervision of first-generation sound artist Christina Kubisch where he continued to show interest in the comprehensive interrelationship of time, space, and materials through image, music, and noise. By collecting, arranging, and visualizing the sounds of daily life, his work is read conceptually in various ways in a socio-cultural context with conflicting reciprocity among images, sounds, and materials.
Looking at his past works, for instance, the noises that dominate cities in re-play (2013) construct an autocratic narrative, and the voice recording in Inter-view: Binding Dreams (2009) reveals the uniformity caus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New Memories of the Garden (2008) visualizes the sounds that govern daily life without perceivable forms; gulp! gulp! gulp! (2008) combines the desire of people today with the clicks of a mouse; Forest (2007) presents the babbling from ads and information. We can now picture the underlying thoughts in his work. They refer to how the excess noises subconsciously latent in modern urban society dictate the space and metaphorically denote the current ecology of our lives stereotyped within socio-cultural norms. His work delves into our cognitive system towards a conceptual realization with an expanded sense from the synergy between sight and hearing.
“My work questions how customs, institutions, and information unconsciously accepted in everyday life affect our perceptions and emotions. Those rules in modern society provide us comfort and familiarity, but on the flip side, some kind of arbitrary or other compulsions lurk. Especially, even the various sounds now that pass by or whose identity is unknown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m.”
- Artist’s Note
Kim balances sound art and visual art domains by a format that runs parallel with sound and installation, taxonomically speaking. Music and noise have already become a medium of art starting at the beginning of the last century, led by the Futurist Manifesto and Duchamp's conceptual sound work. Since then, it leaps forward with the rise of conceptualism, and in particular, sound visualization has been developed much in the field of media art. Sensibility in art is of theoretical senses, visual and aural, according to Hegel, and their combination is anticipated under this idealistic thinking where only the two can attain meanings. The rendezvous of art and technology is crucial in media art. However, it seems that Kim’s audiovisual work is more focused on giving new interpretation and meaning via inconsistency between the sound and visual images rather than technical glitz.
Image-Sound Objet_ at the junction of daily life and art
The noises that consistently resonate around us but not easily perceived are selectively collected and processed for the context in this exhibition to present them as tangible visual objects. Upon entering the space, visitors encounter several pottery-shaped objets where the sound originates. It becomes a minimalist landscape based on repetition and playback.
Cable ceramics are created by rolling up cables as a kind of sound-objet in this audiovisual environment. Several records of elusive noises from household goods are mixed and rearranged in these objets with an elongated beat of Ochaejilgut in Samulnori,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percussion act. This mix is composed of a two-channel surround-sound to echo concurrently in the exhibition space. This exhibition also includes musical scores and drawings created by the artist expressing the image of the sound.
Our current sensibility accustomed to the finicky digital world gets lost in between the smooth eye-catching objets and the unknown analog sound with a consistently dawdling tempo. At the crossroads between seeing and listening, where do our perception, memory, time, and space move toward? We can then ask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image of ceramics, the mixed noises, cable as the material, and the happenings in this environment.
Cables are ordinary expendables used to transmit sound and charge electricity, but once the archetypal form of ceramics is granted, they become art objet. Likewise, the ceramics in this show as a representative image used to be handy domestic goods in the form of earthenware or crocks with twelve different functions such as storage, transportation, heating, and so on. However, the easy-to-use products with current technologies have replaced such functions, and ceramics have become objects of art or subject to stare in art galleries and museums.
The sound also can be discussed in this context. His sound is composed of the subtle noises coming out of those goods we use now in place of the old functions of ceramics, such as refrigerator, rice cooker, radiator, or washer. Ochaejilgut that he takes as the base rhythm, used to be popular music in everyday life, but now it has become stage music. Many things change their meaning according to the times and cultures, and we posit different perspectives. All components of his work - cables, representation of images, and sound – create a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daily life and art, and this unexpected harmony makes a transition and implication to new values.
Material, Manifestation
Cables are an important component in Kim’s work along with speakers and collected sounds. He does not hide cables but actively uses and reveal them physically and conceptually. In this exhibition, they are not only a medium with a practical function of transmitting sound but also a material of form-giving. They transform into articles with a reproducible character, such as bowls, vases, and earthenware that contain sound. These objets we see as ceramic objects are not actual ceramics, but only images that we perceive as ceramics in our notions.
This treachery of the image inevitably directs our attention to the colored cables placed before our eyes. Cables have gained more and more important recently as industry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accelerate. The material of new ceramics as sound objets is not soil, but these cables. The color of the objets is also colorful and smooth, giving them a kitsch sens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itself stand out, emphasizing synthetic resin and artificial plastic.
The transposition between soil and cables may be a sign of the reality that everyday spaces are ubiquitously occupied by objects made of plastic rather than elements of nature. The sound of cable-objet is not nature, but an artificial noise created and nurtured by humans. Consumables that are easily discarded after mass consumption generates tremendous artificial sounds. Once we trace those that he utilizes as sound sources, we encounter the excess materials left by Anthropocene such as plastic, concrete, and aluminum – the hyperobjects. This suggests critical thinking about the artificial remnants penetrating our senses and current problems on the flip side of technological advancement.
Manipulated sound environment
In sound work, the sources are selected and collected like matters in everyday life. With the collected raw sounds, Kim composes a new environment through subtle manipulations in the volume, flow, and pitch. His ability to compose, rearrange, and write music scores using Samulnori tempo comes from his experience in Pungmulnori over the past ten years. The score with his notation system depicts the image of sound as a structural sketch of the auditory dimension. As if it were a conventional composition, all sounds are precisely noted.
Making sheet music with such precision means that he plans and deploys sound thoroughly. Samulnori tempo is converted into a new sound by combining the noises of everyday products. The collected sounds contain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ir occurrence, and concurrently, they interact with the form of ceramics within the present context which creates a strange dissonance. Through such an unfamiliar juxtaposition, he directs all devices and environments to intervene with each other, putting the viewers in a kind of absurd theatrical situation. This stage triggers unfamiliar experiences to our familiar senses. Countless noises floating in our everyday space, and the things in our latent cognition that could not attain definitions, come and go between memory and perception.
The exhibition awakens the sound environment in which we are unconsciously exposed and allows us to reflect on certain living conditions already given to us by society. The intricate combination of objects and sounds that fall into uniform and endless self-replication is nothing but a series of symptoms in contemporary society.
-Ju Yeon Kang
Director Gallery JJ
Translated by Brett D.H.Lee
Instagram: @brettdhlee
@galleryjjseoul
김영섭 (B.1972)
독일 자아브뤽켄 국립조형예술대학교 대학원 졸업
독일 독일 자아브뤽켄 국립조형예술대학교 소리-시각예술학과 졸업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04~)
2020 케이블도자기 그리고 소리 Ⅱ, 갤러리JJ, 서울
2018 Ruhe Bitte ! – Metastase 시안미술관, 영천
2013 Re-play, 자하미술관, 서울
2009 Inter-view 꿈을 묶다, 갤러리 정미소, 서울
2009 Awash_ 소리를 키우자, 영은미술관, 광주
2008 정원에 대한 새로운 기억(서울시립미술관 SeMA 지원전), 토포하우스, 서울
2007 맛있는 식사, 쿤스트독 갤러리, 서울
2006 케이블도자기 그리고 소리 (공존), HBK Saar, 자아브뤽켄, 독일
2004 정지된 소리, Muenchhof, 호흐슈파이어, 독일
주요 단체전 (2008~)
2020 새로운 연대, 대구미술관, 대구
2019 생활, VIBRRANCY AND LIFE,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만남_시공간의 재현, 우란1경(우란문화재단), 서울
2017 사운드 이펙트 서울 2017 혁명은 TV에 방송되지 않는다, 아르코미술관, 서울
2016 달, 쟁반같이 둥근 달,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15 衆口難防, 자하미술관, 서울
2014 소리, 공간을 조각하다,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2013 근대성의 새발견,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2 열두 개의 방을 위한 열두 개의 이벤트,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부산비엔날레 특별전 Outside of Garden, 부산문예회관, 부산
2011 THE POWER OF ART_PEOPLE, 영은미술관, 광주
2011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유용지물, 청주연초제조창, 청주
2010 가만히 살아있는, 포스코미술관, 서울
수상한 집으로의 초대, 서울시립미술관 남서울분관, 서울
2009 Awashawave, Blackwood Gallery, 토론토, 캐나다
2008 집-기억, 일민미술관, 서울
수상 및 레지던시
대구예술발전소 입주 작가(2018), Artist-in-Residence, 빈, 오스트리아(2014), 국립현대미술관 고양미술창작스튜디오 7기 입주 작가(2011), 영은창작스튜디오 7기 입주 작가(2010), 서울시립미술관 SeMA 신진작가 전시지원(2008),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2기 입주 작가(2007)
작품 소장처
서울시립미술관, 포항시립미술관, 영은미술관, 자하미술관
현재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출강
Kim, Youngsup (B.1972)
Meisterschueler-Prof. Christina Kubisch, Saar-University of the Arts, Germany
Diplom(Audio-visual), Saar-University of the Arts, Germany
MFA, Sejong University Painting Department, Seoul, Korea
BFA, Sejong University Painting Department, Seoul, Korea
Solo Exhibition (2004~)
2020 Cable Ceramics & Sounds Ⅱ, Gallery JJ, Seoul
2018 Ruhe Bitte ! – Metastase, CIAN Museum, Yeongcheon
2013 Re-play, Zaha Museum, Seoul
2009 Inter-view Binding Dreams, Gallery Jungmiso, Seoul
2009 Awash_ Let’s Grow Sound,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ngju
2008 The New Memory of a Garden, Topo House, Seoul
2007 Delicious Meal, KunstDoc Gallery, Seoul
2006 Cable, Pottery and Sound(Koexistenz), HBK Saar, Saarbruecken, Germany
2004 Stopped Sound, Muenchhof, Hochspeyer, Germany
Group Exhibition (2008~)
2020 New Communion, Daegu Art Museum, Daegu
2019 VIBRANCY AND LIFE, Jeju Museum of Art, Jeju
Representation of Space-Time, Wooran Foundation, Seoul
2017 Sound Effects Seoul 2017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ion, ARKO Art Center
2016 The Moon, Round Like a Little Plate, Daegu Art Factory, Daegu
2015 ‘Jung Gu Nan Bang’, Zaha Museum, Seoul
2014 Sound Sculpts the Space, Pohang Museum of Steel Art, Pohang
2013 A New Discovery of Modernity, Culture Station Seoul 284, Seoul
2012 12 Events for 12 Rooms, Seoul Museum of Art, Seoul
Busan Biennale 2012 Special Exhibition, Busan Cultural Center Exhibition Hall, Busan
2011 THE POWER OF ART_PEOPLE,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Gwangju
2011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Biennale Not the New, Just the Necessary, Cheongju
2010 Alive Gently, POSCO Art Museum, Seoul
Invitation to the Suspicious House, Seoul Museum of Art, Seoul
2009 Public Space, Private Space, Gallery Jungmiso, Seoul
Awashawave, Blackwood Gallery, Toronto, Canada
2008 House and Memory, Ilmin Museum of Art, Seoul
Award and Residence
Daegu Art Factory Residency(2018), Artist-in-Residence, Wien, Austria(2014), MMCA Residency Goyang(2011), Youngeun Artist-in-Residency(2010), SeMA Young Artist(2008) SeMA NANJI Residency(2007)
Collections
Seoul Museum of Modern Art, Pohang Museum of Steel Art, Youngeun Museum of Contemporary Art, Zaha Museum
Lecturer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usic and Visual Arts, Dongguk University Department of Fine Arts
** 이 시리즈의 나온 것은 작가와 갤러리JJ의 지적재산입니다.^^ 방문하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공감과 댓글은 힘이 되요. **
@galleryjj.seoul
@brettdhlee
'미술 Art > 작가 Arti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tist] 윤정원 | Jeongwon Yoon - 정령의 노래 (0) | 2020.12.05 |
---|---|
[Artist] 최승윤 | Seungyoon Choi - 역설의 알레프 (0) | 2020.12.05 |
[Artist] 박현주 | Hyunjoo Park (0) | 2020.11.26 |
[Artist] 레섹 스쿠르스키 | Leszek Skurski - 화이트의 미쟝센 (0) | 2020.11.22 |
[Artist] 오상택 | Sang Taek Oh - 여배우의 옷장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