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 산책 중인 노마드

Art, Architecture, Travel & Life

미술 Art

작업실 NY - 미술 팝업전시 소식 - #1 The Unseen Threads - 애니쿤, 아티카, 폴 초우트, 아담 움바크 4인전

Brett 2025. 5. 16. 11:18
728x90

구독자 여러분.

뉴욕의 크리에이티브 컬렉티브 JAKUPSIL대표로 활동하면서 작년 서용선 작가 뉴욕 레지던시 지원을 시작으로 애니쿤 작가의 최초 뉴욕 개인전을 거쳐 이번 Spring Pop-Up Series에서 3가지 전시를 선보입니다. 3가지 전시 포스터 공유하면서, 첫번째 전시 보도자료와 이미지 아래에 보실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 www.jakupsil.com 인스타 @jakupsilny  &  @ brettdhlee 

 

 

전시 #1

The Unseen Threads

Anikoon · Artica · Paul Choate · Adam Umbach

May 15 –  21, 2025

오프닝: Friday, May 16,  6-8 pm

 

 

#2 School of Visual Arts MFA 8인 그룹전

TRACE

Jieun Cheon · Ruoxi Hua · Korkimon · Yoorim Ko · Zengyuan Ma · Yena Park · Kutay Tufekci · Yue Yuan

May 22 –  29, 2025

오프닝: Friday, May 23,  6-8 pm

 

 

#3. A Short Lived Torture of Cacophony by HIERRO

현대추상 중견작가 4인. Weekend Project

May 30 –  June 1, 2025

오프닝: Friday, May 30,  6-8 pm

--------------------

 

[국문 보도자료]

 

The Unseen Threads

Anikoon · Artica · Paul Choate · Adam Umbach

 

May 15 –  21, 2025

Reception: Friday, May 16,  6-8 pm

 

Jakupsil은 애니쿤(Anikoon), 아티카(Artica), 폴 초우트(Paul Choate), 아담 움바크(Adam Umbach)의 최근작을 선보이는 4인 단체전 <The Unseen Threads>을 개최한다. 회화, 조각, 드로잉을 통해 이번 전시는 내적 삶과 외적 현실 모두를 구조화하는 비가시적 시스템—기술적, 정서적, 건축적, 기억적—을 발굴한다. 전시 제목은 다양한 실천을 관통하는 상호 연결된 맥락들을 암시한다: 초우트의 기계 보조 드로잉은 기술적 자동화 속 인간 창의성을 질문하고, 아티카의 회화는 유기적 충동과 건축적 제약 사이의 긴장을 매핑하며, 애니쿤의 로봇은 사회적 가면 아래 심리적 서사를 구현하고, 움바크의 정교한 오브제는 개인적 기억을 공유된 경험으로 변환한다. 인공지능과 알고리즘적 매개로 정의되는 문화적 풍경 속에서, 이 작업들은 체계적 구조를 탐구 대상으로 삼으며, 점점 기계화되는 세계에서 무엇이 인간으로 남는지 검토한다. 전시는 가시성에 저항하면서도 힘을 행사하는 요소들을 가리킨다: 침묵 속에 형성된 기억, 인식 아래 작동하는 알고리즘, 수행에서 가려진 정서적 상태, 일상에 엮인 사회적 구조들. 기계를 대상으로 중심화하기보다, 이번 전시는 기계적인 것을 주관성이 구축되는 은유나 프레임워크로 접근한다.

 


시스템 매핑
: 디지털 자동화에서 인지적 지도 제작까지

이번 전시는 시각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개념적 공명을 드러내는 네 가지 독특한 예술적 실천 간의 대화를 제시한다. 폴 초우트(Paul Choate)는 수작업 공예와 기술적 자동화 사이를 탐색하며, 발전이 창의적 표현을 어떻게 재형성하는지 탐구한다. 그의 실천은 기술을 의인화함으로써 인간의 부조리와 실존적 관심사를 어떻게 반영하는지 검토한다. AI 지원과 로봇 공학을 활용하여 초우트는 예술적 의도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기계 융합을 통해 이를 강화하고자 한다. 그의 접근은 기술적 수단을 통해 유형의 예술을 생산하는 도전을 인정하면서도 현실을 과도하게 복잡화하는 인류의 경향을 비판한다. 기계를 단순한 도구가 아닌 대화자로 위치시킴으로써, 그의 작업은 자동화된 창의적 시스템 내에서 환원 불가능하게 인간적인 것이 무엇인지 통찰을 제공한다—예술적 의도와 알고리즘적 실행 사이의 시각적 대화.

아티카(Artica)의 회화적, 조각적 탐색은 현대적 존재를 지배하는 기계론적 프레임워크의 매핑으로 기능한다. 백남준이 말했듯, "사이버네틱스는 다양한 기존 과학들 사이와 교차하는 경계 영역의 탐색이다... 나는 우리 주변의 감각적 공간을 형성하고 싶다."¹ 아티카의 작업은 과학적 정밀함과 도시적 엔트로피 사이의 경계를 가로지르며, 세포 형태학과 대도시 건축에서 영감을 받는다. 미시적 구조와 거시적 도시 혼돈에 영향을 받아, 그는 경험적 관찰과 제스처적 표식을 융합한다. The Fly Signal Interference는 회화와 발견된 재료—자석, 회로, 도체—를 결합하여 인지 과정의 공간적 은유를 만든다. 그의 회화는 전이적 영역—우리가 거주하기보다 통과하는 임계 공간—을 탐구하며, 건축적 구조와 신경 구조 사이의 상관관계를 드러낸다. 빛과 전기를 통해, 그의 작업은 동적이고, 저항하며 구조 내에서 살아있는 사고를 가시화한다:

 

감성적 기계들

애니쿤(Anikoon)의 독특한 로봇 형상은 로봇 표현과 흔히 연관된 매끄러운 미학을 피하고 대신 인간적 취약성을 구현한다. 칼융은 "페르소나는 현실에서 자신이 아닌 것이지만, 자신과 타인이 자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라고 관찰했다.² 이 통찰은 로봇이 우리 모두가 착용하는 가면—현대 생활에서 채택된 페르소나의 외부화—으로 기능하는 애니쿤의 실천을 통해 공명한다. 뉴욕 벼룩시장에서 버려진 장난감 로봇과의 우연한 만남에서 비롯된 그의 연작은 소비재와 인간 감정 모두에 내재된 무상함을 탐구한다. Rusty Robot Heart to Heart 같은 연작에서 장난스러운 당혹감에서 심오한 우수에 이르는 표현을 통해, 애니쿤은 외적 외관과 내적 목소리 사이의 간극을 시각화한다. 그의 탐구는 그의 작업 전반에 걸쳐 흐르는 핵심 요소를 드러낸다: 만화 같은 상상력과 순수함에 대한 갈망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그러한 순수함이 계속 모호하다는 인식. 그의 작업은 윤리적 인식의 장소로서 얼굴 대 얼굴 만남에 대한 레비나스의 개념을 끌어오며, 타인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결국 자기 실현으로 이어지고 기술적 외관 뒤의 취약성을 인식할 때 진정한 연결이 출현한다고 제안한다.

 

기억 기관: 아카이브로서의 오브제

아담 움바크(Adam Umbach)의 실천은 개인적 신화와 집단적 노스탤지어의 교차점에서 작동하며, 정교한 기법을 활용하여 평범한 오브제를 정서적 공명의 매개체로 변환한다. 벤야민은 "모든 열정은 혼돈과 접경하지만, 수집가의 열정은 기억의 혼돈과 접경한다"는 통찰을 제시했다³—이는 움바크의 접근을 조명한다. 그의 방법론—사실적 렌더링과 비주력 손으로 만든 제스처적 표식의 병치—은 구조화된 회상과 매개되지 않은 감정 사이의 긴장을 반영하는 형식적 변증법을 만든다. 추상과 재현 사이의 발광하는 색채 장에서 작업하며, 움바크는 분류학적 표본이자 생명력 있는 존재로 동시에 기능하는 이미지를 구성하여, 관람자를 기억이 아카이브이자 만남이 되는 공간으로 초대한다. 이러한 변환은 나비가 그의 고인이 된 어머니의 정원 사랑에 대한 헌사로 기능하는 Another Garden Scene #9와 어린 시절 장난감이 고립과 색채적 강도를 통해 기념비적 존재감을 띠게 되는 *Duck Light (Bright Blue)*에서 분명하다. 움바크는 기억 기계를 만든다—시각적 표현을 통해 체험된 경험을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사적 노스탤지어를 관람자 자신의 기억이 공명을 찾는 공유된 영역으로 변환한다.

 

체계적 실과 자아

이번 전시는 시스템과 주관적 경험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검토하며, 기계적 프레임워크—기술, 사회적 아키텍처, 인지적 패턴, 또는 재현적 관습—가 어떻게 의식을 형성하고 또한 의식에 의해 형성되는지 드러낸다. 전시 제목은 숨겨진 연결을 참조한다: 기술적 생산과 예술적 표현 사이, 환경과 사고 과정 사이, 기계적 재현과 정서적 상태 사이. 기술적 가속화와 AI 불안의 시대에, 애니쿤, 아티카, 초우트, 움바크는 발전을 비판 없이 축하하거나 노스탤지어로 후퇴하지 않는 관점을 제공한다. 이 작업들은 기계를 주제이자 매체로 활용하며, 기계적 시스템이 어떻게 타자성을 통해 인류를 드러내는지 탐구한다. The Unseen Threads는 의식과 시스템의 교차점에서 의미가 어떻게 출현하는지에 대한 숙고를 초대하며, 우리를 기술적, 정서적, 사회적 인프라와 연결하는 보이는 그리고 보이지 않는 실들과의 관계에 의해 정의되는 시대에 인류를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를 제공한다.

 

 

¹ 백남준, 『글로벌 그루브 2004』, 편집 백남준, 존 이폴리토, 존 G. 한하르트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2004), 107쪽.

² 카를 융, 『기억, 꿈, 사상』 (뉴욕: 판테온 북스, 1963), 415쪽.

³ 발터 벤야민, "나의 서재를 풀어놓으며," 『조명들』, 편집 한나 아렌트 (뉴욕: 쇼켄 북스, 1968), 486쪽.

 

문의:

Brett Lee

JAKUPSIL - Creative Collective

T. +1 215 906 5200

E. brett.jakupsil@gmail.com

W. www.jakupsil.com

IG. @brettdhlee  @jakupsilny

 

-----------------------------------------------------

[영문 NY Press Release]

 

The Unseen Threads

Anikoon · Artica · Paul Choate · Adam Umbach

 

May 15 –  21, 2025

Reception: Friday, May 16,  6-8 pm

 

Text | Brett Lee, Curator

 

Jakupsil is pleased to present The Unseen Threads, a group exhibition featuring recent works by Anikoon, Artica, Paul Choate, and Adam Umbach. Through painting, sculpture, and drawing, the exhibition excavates invisible systems—technological, emotional, architectural, and mnemonic—that structure both internal lives and external realities. The title alludes to interconnected threads running through diverse practices: Choate's machine-assisted drawings interrogate human creativity within technological automation; Artica's paintings map tension between organic impulse and architectural constraint; Anikoon's robots embody psychological narratives beneath social masks; and Umbach's meticulous objects transform personal memory into shared experience. Within a cultural landscape defin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gorithmic mediation, the works engage systematic structures as sites of inquiry, examining what remains human in an increasingly mechanized world. The Unseen Threads points to what resists visibility yet exerts force: memories shaped in silence, algorithms operating below awareness, emotional states masked in performance, and societal structures woven into daily life. Rather than centering the machine as object, the exhibition approaches the mechanical as metaphor, mirror, and framework through which subjectivity is constructed.

 

System Mapping: From Digital Automation to Cognitive Cartographies

The exhibition presents a dialogue between four distinct artistic practices that reveal conceptual resonance despite visual diversity. Paul Choate navigates between manual craft and technological automation, probing how advancement reshapes creative expression. His practice examines how personifying technology reflects human absurdities and existential concerns. Working with AI assistance and robotics, Choate seeks not to replace artistic intent but to enhance it through human-machine fusion. His approach acknowledges the challenges of producing tangible art through technological means while critiquing humanity's tendency to overcomplicate reality. By positioning the machine as interlocutor rather than mere tool, his works offer insight into what remains irreducibly human within automated creative systems—a visual dialogue between artistic intention and algorithmic execution.

Artica's painterly and sculptural explorations function as a mapping of the mechanistic frameworks governing contemporary existence. As Nam June Paik uttered, "Cybernetics is the exploration of boundary regions between and across various existing sciences... I want to shape the sensory space around us.”1 Artica’s work traverses boundaries between scientific precision and urban entropy, drawing from cellular morphology and metropolitan architecture. Influenced by microscopic structures and macroscopic urban chaos, she merges empirical observation with gestural marks. The Fly and Signal Interference combine painting with found materials—magnets, circuitry, conductors—creating spatial metaphors for cognitive processes. Her paintings explore transitional zones—threshold spaces we move through rather than inhabit—revealing correlations between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neural architectures. Through light and electricity, her work renders thought visible: kinetic, resistant, alive within containing structures.

 

Vulnerable Machines

Anikoon's distinctive robot figures eschew the sleek aesthetic often associated with robotic representation to instead embody human vulnerability. Carl Jung observed, "The persona is that which in reality one is not, but which oneself as well as others think one is."² This insight resonates through Anikoon's practice, where robots function as the masks we all wear—externalizations of the personae adopted in modern life. Originating from a chance encounter with an abandoned toy robot at a New York flea market, his series explores the impermanence inherent in both consumer goods and human emotions. Through expressions ranging from playful bewilderment to profound melancholy in series like Rusty Robot and Heart to Heart, Anikoon visualizes the gap between external appearance and internal voice. His exploration reveals a core element running throughout his work: an interplay between cartoon-like imagination and longing for innocence, coupled with the recognition that such purity remains elusive. His work draws on Levinas' concept of face-to-face encounter as a site of ethical recognition, suggesting that accepting others as they are ultimately leads to self-realization and genuine connection emerges when we perceive the vulnerability behind technological facades.

 

 

Memory Engines: Object as Archive

Adam Umbach's practice operates at the intersection of personal mythology and collective nostalgia, employing meticulous technique to transform ordinary objects into vessels of emotional resonance. Benjamin noted, "Every passion borders on the chaotic, but the collector's passion borders on the chaos of memories"³—an insight illuminating Umbach's approach. His method—juxtaposing photorealistic rendering with gestural marks from his non-dominant hand—creates a formal dialectic mirroring the tension between structured recollection and unmediated emotion. Working in luminous color fields between abstraction and representation, Umbach constructs images functioning simultaneously as taxonomic specimens and animated presences, inviting viewers into spaces where memory becomes both archive and encounter. This transformation is evident in Another Garden Scene #9, where butterflies serve as tributes to his late mother's love of gardens, and in Duck Light (Bright Blue), where a childhood toy assumes monumental presence through isolation and chromatic intensity. Umbach crafts memory machines—systems processing lived experience through visual representation that transform private nostalgia into shared territory where viewers' own memories find resonance.

 

 

Systemic Threads and Self

The exhibition examin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systems and subjective experience, revealing how mechanical frameworks—technologies, social architectures, cognitive patterns, or representational conventions—both shape and are shaped by consciousness. The title references hidden connections: between technological production and artistic expression, between environments and thought processes, between mechanical representation and emotional states. In our era of technological acceleration and AI anxiety, Anikoon, Artica, Choate, and Umbach offer perspectives neither uncritically celebrating progress nor retreating into nostalgia. The works engage the machine as both subject and medium, exploring how mechanical systems reveal humanity through their otherness. The Unseen Threads invites contemplation of how meaning emerges at the intersection of consciousness and systems, offering inquiry into what constitutes humanity in an age defined by our relationship with the seen and unseen threads connecting us to techn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infrastructures.

 

¹ Nam June Paik, Global Groove 2004, eds. Nam June Paik, Jon Ippolito and John G. Hanhardt (New York: Guggenheim Museum, 2004), 107.

² Carl Jung, Memories, Dreams, Reflections (New York: Pantheon Books, 1963), 415.

³ Walter Benjamin, "Unpacking My Library," in Illuminations, ed. Hannah Arendt (New York: Schocken Books, 1968), 486.

 

문의:

Brett Lee

JAKUPSIL - Creative Collective

T. +1 215 906 5200

E. brett.jakupsil@gmail.com

W. www.jakupsil.com

IG. @brettdhlee  @jakupsilny

 

반응형